프로세스 2

[운영체제] 4. 프로세스 (2)

지난 포스트에 이어서..! 1. 프로세스의 생성과 복사 1. 프로세스 생성 ▶ 프로세스는 언제 생성되는가? 1) 시스템 부팅과정에서 필요한 프로세스 생성 2) 사용자의 로그인 후 사용자의 대화를 위한 프로세스 생성 3)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명령 4) 배치 작업 실행 시 5)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호출로 새 프로세스 생성 하지만, 메모리에 올라갔다고 단순히 프로세스가 아니다! → 그냥 메모리에만 올라와 있는 것이 아닌 PCB가 존재하여 OS가 제어 가능한 형태가 되어야 한다. 2. 프로세스 생성 과정 1) 생성하려는 실행 파일의 경로를 OS에 전달 2) OS는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적재 → Code 영역에 프로그램의 코드를 적재시키고, Data 영역에 전역/정적 변수들을 할..

CS 전공/OS 2024.04.18

[운영체제] 3. 프로세스 (1)

어느덧 프로세스이다. 운영체제는 정말 외워야 할 과목이 많은 것 같다. 짚고 가야할 부분 3가지 - 프로세스 개념 - 프로세스 구조 - 프로세스 생성과 계층 구조 1. 프로세스 1.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는 실행 파일이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상태이다. 반드시 메모리에 올라가야 실행될 수 있다. 그 외에도 이렇게 정의된다. - 주기억 장치에 상주된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처리되는 상태 - CPU에 의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- PCB의 존재로서 명시되는 것 -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개체로서 디스패치가 가능한 단위 를 프로세스라 한다. 그럼 현대 운영체제 방식인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에서 프로세스를 살펴보자. 2.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에서의 프로세스 우리가, 컴퓨터나 휴대폰을 볼 때 한 가지 프..

CS 전공/OS 2024.04.18